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핫이슈 산업 용어 '관세', 관세가 뭐예요?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핫이슈 산업 용어 '관세', 관세가 뭐예요?

  • 핫이슈 산업 용어 관세, 관세가 뭐예요?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관세, 관세가 뭐예요?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관세, 관세가 뭐예요?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관세, 관세가 뭐예요?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관세, 관세가 뭐예요?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관세, 관세가 뭐예요? 하단내용 참조

■ 관세(關稅, Tariff)
: 물품이 관세영역에 반입 또는 반출될 때 부과되는, 관세율표상에 규정된 관세. 쉽게 말해 수출·수입되는 물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국내산업 보호와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함.
* 출처: 관세청 관세용어사전

(예문)
정부는 특정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조정하여 국내 산업을 보호하고자 한다.

■ 상호관세(相互關稅, Reciprocal Tariff)
: 특정 국가가 자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그 국가의 제품에 부과하는 무역 정책을 의미. 즉, 다른 나라가 부과하는 관세만큼 같은 관세를 부과한다는 것.
* 출처: 연합인포맥스 시사금융용어

(예문)
미국 정부는 현지시간 4월 2일자로 중국 34%, 인도 26%, 한국 25% 등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 보편관세(普遍關稅, Universal Tariff)
: 모든 수입품에 일괄적인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를 의미. 특정 국가나 상품이 아닌 모든 무역국가와 상품에 동일한 관세율을 적용하는 방식.
* 출처: 연합인포맥스 시사금융용어

(예문)
미국의 보편관세 부과는 글로벌 무역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품목별 관세(品目別 關稅, Itemized Tariff)
: 각 상품의 종류나 품목에 따라 개별적으로 부과되는 관세.
*출처: 관세청FTA포털

(예문)
미국은 철강· 알루미늄 및 자동차·부품에 25% 품목별 관세를 부과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