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청년 성장' 응원하는 '청년카페'를 아시나요?

주거·심리·진로 등 고민 많은 청년 누구나 열려 있어
청년 정책·맞춤형 프로그램 등 안내…관악청년문화공간 신림동쓰리룸 센터장 인터뷰

2025.04.10 정책기자단 김영현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청년들의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해 '청년성장프로젝트'의 하나로 '청년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청년카페'는 경력 설계, 진로 탐색, 실전 취업 준비 등 맞춤형 프로그램과 심리 상담 등 1:1 지원을 제공하며, 청년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와 후속 지원까지 두루 갖춘 공간이다.

전국에 카페가 마련되어 있으며, 위치나 프로그램 등 구체적인 정보는 고용24(work24.go.kr) > 취업지원 > 취업역량강화 > 청년성장 프로젝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자는 서울 관악구에 위치한 관악청년문화공간 신림동쓰리룸을 직접 방문해 봤다.

시설을 대관하거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면 사전 예약이 필요하지만, 간단한 공간 이용 목적이라면 예약 없이 방문해도 된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느낀 첫인상은 "접근성 좋고, 시설도 좋다!"였다.

서울대벤처타운역 근처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고, 리모델링을 마친 밝고 깔끔한 인테리어 덕분에 공간 자체가 주는 안정감도 크다.

시설은 크게 두 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층은 자유롭게 공부하거나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으로, 스터디카페와 유사한 분위기였다.

밝고 아늑한 1층 라운지 공간에는 청년들이 자유롭게 쉬거나 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좌석이 마련돼 있다.
밝고 아늑한 1층 라운지 공간에는 청년들이 자유롭게 쉬거나 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좌석이 마련돼 있다.

정책 홍보자료도 비치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정보도 접할 수 있다.

청년 주거, 심리, 진로 등 다양한 주제의 정책 안내자료들이 한눈에 보기 쉽게 비치돼 있다.
청년 주거, 심리, 진로 등 다양한 주제의 정책 안내자료들이 한눈에 보기 쉽게 비치돼 있다.

한쪽엔 공용 주방도 마련되어 있어 잠깐의 휴식도 가능하다.

신림동쓰리룸 내 마련된 공용 주방은 청년들이 자유롭게 음료를 마시거나 간단히 식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신림동쓰리룸 내 마련된 공용 주방은 청년들이 자유롭게 음료를 마시거나 간단히 식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2층은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대관 공간과 센터 사무실로 구성되어 있다.

개인은 물론, 동아리나 소규모 모임이 활용하기에도 적합한 구조였다.

강의나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대관 공간은 밝고 쾌적한 환경을 자랑한다.
강의나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대관 공간은 밝고 쾌적한 환경을 자랑한다.

이 공간이 왜, 그리고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그 이야기를 듣기 위해 관악청년문화공간 신림동쓰리룸의 정성광 센터장을 만나봤다.

서울청년센터 관악 신림동쓰리룸 정성광 센터장이 청년카페의 취지와 운영 철학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서울청년센터 관악 신림동쓰리룸 정성광 센터장이 청년카페의 취지와 운영 철학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 서울청년센터 관악 신림동쓰리룸 정성광 센터장 인터뷰

Q. 청년카페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2019년부터 청년정책 전반을 연계해 온 경험이 있어요. 취업이나 주거,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요. 특히 장기 미취업 청년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그 이전 단계에서 도움을 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이 사업에 참여하게 됐어요.

Q. 공간을 기획할 때 가장 중요하게 본 가치는 무엇인가요?

청년이 '편하게' 올 수 있는 공간인가, 그걸 제일 고민했죠. 물리적인 접근성과 더불어 심리적 진입장벽도 낮춰야 청년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상담도 받게 되니까요. 그래서 밝고 세련된, 청년 친화적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어요.

Q. 운영 방향성은 어떤가요?

청년을 세 그룹으로 나눠서 운영 방향을 설정했어요.

1. 사회 초년생 – 노동/주거정책 연계

2. 장기 미취업 청년 – 진로 탐색, 직업 체험, 멘토링

3. 취업 준비 청년 – 자기 브랜딩, 이미지 메이킹, 집단상담

이들에게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연간 40~50회 정도 진행될 계획이에요.

Q. 청년들의 반응은 어떤가요?

고시촌이라는 지역 특성 덕분에 주로 공부나 그룹 스터디 용도로 많이 활용해요. 프리랜서들도 와서 작업하고요. 대학생들이 동아리 활동이나 모임 공간으로도 자주 이용하죠. 프로그램 외에도 법률, 주거, 집수리 교육 등 실생활과 밀접한 프로젝트도 함께 운영하고 있어요.

Q. 기억에 남는 이용 사례가 있다면요?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에 놓인 청년이 꽤 많다는 걸 실감했어요. 그런데 막상 도움을 어디에 요청해야 하는지 몰라서 망설이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센터가 그런 청년들에게 심리적, 물리적으로 열려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실제로 그런 역할을 하게 되었을 때 가장 보람을 느낍니다.

Q. 마지막으로 청년들에게 한마디 해주신다면요?

도움 요청에 거리낌이 없었으면 좋겠어요. 꼭 극단적으로 힘든 상황이 아니더라도, 누구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니까요. 센터는 청년의 욕구에 맞춰 정책과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연결해 주는 곳이에요. 혼자 고민하지 말고, 찾아와 주세요.

청년카페는 단순한 '쉼터'가 아니다.

내게 필요한 정보와 경험, 그리고 사람을 만날 수 있는 성장의 플랫폼이다.

깔끔하고 편안한 공간, 그리고 청년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청년 지원 매니저들이 기다리고 있다.

지금 '청년카페'에서, 여러분만의 한 걸음을 시작해 보기를 바란다.

☞ 고용24 www.work24.go.kr 

☞ 2025 청년정책 확인 korea.kr/withyou

정책기자단 김영현 사진

정책기자단|김영현kdudgus@snu.ac.kr

생생한 정책 이야기를 쉽고 친숙하게 전하겠습니다.

하단 배너 영역